본문 바로가기
반려견 유용한 정보 및 팁

반려견 챙겨야 할 필수 예방접종과 구충제

by 그레먼 2020. 4. 9.

반려견 챙겨야 할 필수 예방접종과 구충제

안녕하세요. 그레먼 입니다.

 

저는 별이를 키우면서 반려견들은 알아서 잘 자라는 줄만 알았는데 챙겨야 할 예방접종이나 약들이 있더라구요. 이 무관심한 주인 밑에서 크고 있는 가엾은 별이 ㅜ,ㅜ 반려견들의 씩씩하고 명랑한 모습을 위해서 반려견을 키우면서 챙겨야할 예방접종들과 약들에 대해서 잘 기억해 두자구요.

 

먼저 예방접종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반려견예방접종으로는 기본적으로 종합백신(DHPPL), 코로나, 켄넬코프, 광견병 백신이 있는데 반려견은 태어나 약 6주후부터 어미로부터 받은 면역력이 약해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생후 6~8주부터 예방접종을 시작합니다. 반려견들은 사람과달리 접종 후 항체가 평생 유지되지 못해 기초 접종후에 1~2년에 한번씩 추가접종이 필요하다고 하네요.

 

  • 종합 백신 7종 (DAPPL) : 홍역, 전염성 간염, 렙토스피라증, 파보바이러스성 장염, 파라인플루엔자성 기관지염, 아데노바이러스성 기관지염등 많은 질병을 예방하는 가장 중요한 예방접종으로 2주간격으로 5회이상 접종이 필요합니다.

 

  • 코로나 장염 예방접종 : 코로나 바이러스성 장염은 구토를 하며, 식욕이 없어지고 설사가 잦아지는 증세를 지닌 반려견들에게 치명적인 전염병인데 이를 예방하는 예방접종입니다.

 

  • 켄넬코프 예방접종 : 반려견들이 많이 모이는 곳에서 공기를 통해 쉽게 감염되는데 마른기침 증세를 보이다 폐렴으로 진행 되는 병을 예방하는 예방접종입니다.

 

  • 광견병 : 광견병은 개들 뿐만 아니라 사람에게도 옮길 수 있는 무서운 질병으로 매년 추가접종을 받아야하는 필수 예방접종입니다.

 

생후 6주부터 맞는 기초 접종은 보통 보시는 바와 같은 일정으로 진행됩니다.

 

  • 6주차 종합백신 1차 + 코로나 장염 1차

 

  • 8주차 종합백신 2차 + 코로나 장염 2차

 

  • 10주차 종합백신 3차 + 켄넬코프 1차

 

  • 12주차 종합백신 4차 + 켄넬코프 2차

 

  • 14주차 종합백신 5차 + 신종플루 1차

 

  • 16주차 관경병 + 신종플루 2차

 

 

 구충제에 대해서도 살펴보죠. 구충제는 심장사상충 예방하는 심장사상충 약 그리고 내부기생충을 막는 구충제와 외부 기생충을 막는 외부 구충제가 있어요. 심장사상충은 감염된 모기로 인해 유충이 혈관을 통해 심장이나 폐혈관으로 들어가 심장에서 성충으로 발견되는 무서운 기생충인 만큼 예방이 필요하고 이밖에도 회충, 십이지장충, 편충, 촌충, 벼룩, 옴, 이, 진드기, 모낭충등 다양한 기생충이 있기 때문에 특히 반려견과 야외활동을 자주 하신다면 한달에 한번씩 구충제를 잘 챙겨주셔야 합니다.

 

구충제는 그 종류가 다양하고 사용법도 서로 상이해서 헷갈리는 경우가 많은데요. 

 

한달에 한번 씩 심장사상충 약 + 내부기생충 약 + 외부기생충 약을 챙겨주시면되요. 

 

야외활동이 잦은 반려견에게 추천하는 조합은 하트가드 + 드론탈 + 프론트가드(바르는약)로 거의 모든 회충을 막을 수 있는 안전한 조합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대부분 실내에 있는 반려견이라면 넥스가드 스펙트라하나로 심장사상충부터 내외부 기생충까지 손쉽게 관리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오늘은 반려견에게 챙겨야할 다양한 예방접종과 구충제들을 알아보았는데요. 포스팅을 하면서 구충제나 예방접종을 얼마나 소흘히 했었는지 부끄러워졌습니다. 솔직히 별이도 생각나면 먹이고 까먹고 괜찮겠지하고 넘어갔던적도 많았거든요. 반려견이든 사람이든 건강관리만큼은 소홀히 하면 안되겠습니다.

 

 

다음시간에 더좋은 내용으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부탁드려요^^

'반려견 유용한 정보 및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명하게 반려견 분양받기  (0) 2020.04.02
반려견 입양 전 준비할 것들  (0) 2020.04.02
반려견 헛짖음  (0) 2020.03.31
반려견 발톱 자르기  (0) 2020.03.31
반려견에게 위험한 음식들  (0) 2020.03.18

댓글